홈 공연팀
공연팀
최근섭외
행사명 | 행사일 | 러닝타임 | 편성인원 | 행사지역 | 실섭외비(vat별도) |
---|
영상
최근 영상으로 아티스트를 먼저 만나보세요.포트폴리오
최근 주요 행사 실적을 확인해 보세요.
김덕수 예인 인생 60주년 세종문화회관 공연
뉴욕국악축전 협연
세종학당 중남미 투어
사물놀이 40주년 기념 국회의사당‘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 신악 초연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 공연
문상준
1987.2.12.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김덕수 사물놀이 단원 역임
-現) 사물놀이 본 대표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2001, 2004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10년 스티비원더 내한공연 협연
2012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12년 광대인생 60주년 김덕수 ‘흥’ 공연
2013년 한일 합동 오사카 도쿄 투어
2014년 실크로드 엑스포 교류 터키 공연
2014년 일렉트릭 사물놀이 창단멤버 및 초연
2015년 KBS 국악관현악단 30주년 기념 협주곡 ‘본’ 초연
2016년 평창겨울 연희축전 ‘동동동’ 공연
2016년 경기음악이야기 ‘본푸리’ 초연
2017년 유럽6개국 사물놀이 단독공연 투어
2017년 김덕수 예인 인생 60주년 세종문화회관 공연
2018년 뉴욕국악축전 협연
2018년 세종학당 중남미 투어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기념 국회의사당‘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송동운
1985.10.25.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現) 김덕수 사물놀이 단원
-중요무형문화재 11-1 진주 삼천포 12차농악 이수자
-現) 사물놀이 본 단원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2003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9년 방록주 국악 경연대회 국무총리상
2010년 스티비원더 내한공연 협연
2011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창작부분 으뜸상
2012년 MBC 특별기획 ‘넌버벌 대장금’ 상설공연 주연
2013년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 엑스포 개막 공연 및 축하공연
2014년 일렉트릭 사물놀이 창단멤버 및 초연
2015년 KBS 국악관현악단 30주년 기념 협주곡 ‘본’ 초연
2015년 세계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막식 축하공연
2016년 오스트리아 오페라하우스 ‘Wolfgang Puschnig’ saxfour, Red sun Samulnori 공연
2017년 사물놀이 한울림 유럽투어
2017년 일본 NARA international Exchange Festival 초청공연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기념 국회의사당‘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2018년 뉴욕 국악 축전 김덕수패 사물놀이 초청공연
2019년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 신악 초연
2019년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 공연
방성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재학
現) 김덕수 사물놀이패 단원
現) 연희공방 음마갱깽 부대표
現) 사물놀이 본 단원
現) 북총사 단원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1995년 김덕수 사물놀이 새울림 청소년 예술단 입단, 창단공연
1996년 프랑스 세계청소년예술제 순회공연(16개 도시 39일간)
1997년 사물놀이 한얼 “아리랑” 사물놀이 완판 공연 (경기도문화예술회관)
1997,99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2년 김덕수 월드컵 사물놀이단 활동
2006년 세계 사물놀이 겨루기 한마당 최우수 연희자상
2007년 김덕수 예인 인생 50주년기념 “길” 공연
2010년 스티비원더 내한공연 협연
2011년 천지진동 페스티벌 2000명 사물놀이 중앙지도자
2012년 김덕수 광대인생60주년 “흥” 공연
2013년 명품 국악콘서트 “행복” “신모듬 3악장” 협연
2014년 수원시향 송년음악회 “신모듬 3악장” 협연
2016년 인형극 ‘꼭두’ 80일간의 세계일주 출연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국회 여의도 광장 ‘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2018년 뉴욕 국악 축전 김덕수패 사물놀이 초청공연
2018년 평창올림픽 IOC총회 개회식 축하공연
2019년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신악 초연
김성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수료
現) 김덕수 사물놀이패 단원
現) 연희공방 음마갱깽 단원
現) 사물놀이 본 단원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1995년 김덕수 사물놀이 새울림 청소년 예술단 입단, 창단공연
1996년 프랑스 세계청소년예술제 순회공연(16개 도시 39일간)
1997년 사물놀이 한얼 “아리랑” 사물놀이 완판 공연 (경기도문화예술회관)
1997,99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2년 김덕수 월드컵 사물놀이단 활동
2007년 김덕수 예인 인생 50주년 기념 “길” 공연
2011년 천지진동 페스티벌 2000명 사물놀이 기획 및 안무
2012년 김덕수 광대인생 60주년 “흥” 공연
2014년 루마니아 Korean cultural festival in Bucharest
2016년 스승과 제자의 사랑 음악회
2017년 김덕수 예인 인생 60주년 세종문화회관 공연
2018년 방성혁, 김성대의 출사표 ‘맞고’ 공연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국회 여의도 광장 ‘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2019년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 신악 초연
2019년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 공연
뉴욕국악축전 협연
세종학당 중남미 투어
사물놀이 40주년 기념 국회의사당‘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 신악 초연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 공연
문상준
1987.2.12.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김덕수 사물놀이 단원 역임
-現) 사물놀이 본 대표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2001, 2004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10년 스티비원더 내한공연 협연
2012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12년 광대인생 60주년 김덕수 ‘흥’ 공연
2013년 한일 합동 오사카 도쿄 투어
2014년 실크로드 엑스포 교류 터키 공연
2014년 일렉트릭 사물놀이 창단멤버 및 초연
2015년 KBS 국악관현악단 30주년 기념 협주곡 ‘본’ 초연
2016년 평창겨울 연희축전 ‘동동동’ 공연
2016년 경기음악이야기 ‘본푸리’ 초연
2017년 유럽6개국 사물놀이 단독공연 투어
2017년 김덕수 예인 인생 60주년 세종문화회관 공연
2018년 뉴욕국악축전 협연
2018년 세종학당 중남미 투어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기념 국회의사당‘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송동운
1985.10.25.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現) 김덕수 사물놀이 단원
-중요무형문화재 11-1 진주 삼천포 12차농악 이수자
-現) 사물놀이 본 단원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2003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9년 방록주 국악 경연대회 국무총리상
2010년 스티비원더 내한공연 협연
2011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창작부분 으뜸상
2012년 MBC 특별기획 ‘넌버벌 대장금’ 상설공연 주연
2013년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 엑스포 개막 공연 및 축하공연
2014년 일렉트릭 사물놀이 창단멤버 및 초연
2015년 KBS 국악관현악단 30주년 기념 협주곡 ‘본’ 초연
2015년 세계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막식 축하공연
2016년 오스트리아 오페라하우스 ‘Wolfgang Puschnig’ saxfour, Red sun Samulnori 공연
2017년 사물놀이 한울림 유럽투어
2017년 일본 NARA international Exchange Festival 초청공연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기념 국회의사당‘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2018년 뉴욕 국악 축전 김덕수패 사물놀이 초청공연
2019년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 신악 초연
2019년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 공연
방성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재학
現) 김덕수 사물놀이패 단원
現) 연희공방 음마갱깽 부대표
現) 사물놀이 본 단원
現) 북총사 단원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1995년 김덕수 사물놀이 새울림 청소년 예술단 입단, 창단공연
1996년 프랑스 세계청소년예술제 순회공연(16개 도시 39일간)
1997년 사물놀이 한얼 “아리랑” 사물놀이 완판 공연 (경기도문화예술회관)
1997,99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2년 김덕수 월드컵 사물놀이단 활동
2006년 세계 사물놀이 겨루기 한마당 최우수 연희자상
2007년 김덕수 예인 인생 50주년기념 “길” 공연
2010년 스티비원더 내한공연 협연
2011년 천지진동 페스티벌 2000명 사물놀이 중앙지도자
2012년 김덕수 광대인생60주년 “흥” 공연
2013년 명품 국악콘서트 “행복” “신모듬 3악장” 협연
2014년 수원시향 송년음악회 “신모듬 3악장” 협연
2016년 인형극 ‘꼭두’ 80일간의 세계일주 출연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국회 여의도 광장 ‘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2018년 뉴욕 국악 축전 김덕수패 사물놀이 초청공연
2018년 평창올림픽 IOC총회 개회식 축하공연
2019년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신악 초연
김성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전통예술원 연희과 수료
現) 김덕수 사물놀이패 단원
現) 연희공방 음마갱깽 단원
現) 사물놀이 본 단원
수상 경력 및 공연 이력
1995년 김덕수 사물놀이 새울림 청소년 예술단 입단, 창단공연
1996년 프랑스 세계청소년예술제 순회공연(16개 도시 39일간)
1997년 사물놀이 한얼 “아리랑” 사물놀이 완판 공연 (경기도문화예술회관)
1997,99년 세계 사물놀이겨루기 한마당 대통령상
2002년 김덕수 월드컵 사물놀이단 활동
2007년 김덕수 예인 인생 50주년 기념 “길” 공연
2011년 천지진동 페스티벌 2000명 사물놀이 기획 및 안무
2012년 김덕수 광대인생 60주년 “흥” 공연
2014년 루마니아 Korean cultural festival in Bucharest
2016년 스승과 제자의 사랑 음악회
2017년 김덕수 예인 인생 60주년 세종문화회관 공연
2018년 방성혁, 김성대의 출사표 ‘맞고’ 공연
2018년 사물놀이 40주년 국회 여의도 광장 ‘All for One, One for All' 공연
2019년 ‘침묵이 만들어 내는 소리’ 사물 신악 초연
2019년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개막공연 ‘광화문, 아리랑을 잇다’ 공연
레파토리
다양한 공연 레파토리를 확인해 보세요.
○ 문굿, 비나리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잡귀 잡신을 몰아내고 만복을 받으라는 의미로 문굿을 행햐여 왔다. 문굿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문이라는 매개체를 통과하면서 하늘과 땅을 괭과리, 징, 장구, 북의 연주를 통하여 이어주는 것을 말한다. 나쁜 기운은 땅을 짓밟아 주면서 없애주고, 사물의 악기 소리를 통하여 가정의 평안과 좋은 기운을 가져가라는 뜻으로 연행된다. 오늘 오신 모든 관객에게 잡기 잡신을 몰아내고 만복을 받아가라는 뜻으로 첫 번째 공연 프로그램으로 시작한다. 문굿과 더불어 비나리를 통해 나쁜 액살을 풀고, 만수무강과 만사형통을 빌어준다.
○ 삼도 설장구 가락
-삼도 설장구 가락은 사물놀이의 레파토리 확장적인 측면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다. 유일하게 양면성이 있고 독주가 가능했기 때문에 한 가지 악기만을 가지고 만들 수 있었고, 웃다리, 호남, 영남의 선배, 선생들의 가락을 집대성하여 체계있게 만든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즉흥성이 강했던 선반 설장구의 가락들을 앉아서 연주하기 위해가락의 대삼소삼, 열편과 궁편의 음양의 조화, 독주와 합주의 대비, 체계적인 순서가 정립되어 연주된다. 다스림-굿거리-덩덕쿵이-동살풀이-휘모리로 연주되고 천천히 시작해서 점점 고조되는 형식을 지니고 있어서 다이나믹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삼도 농악 가락
-우리나라의 8도 가운데, 경기·충청지역, 호남지역, 영남지역의 풍물들의 가락 가운데, 재미있고, 특색있는 가락만 모아서 앉은반 형태의 합주곡으로 만들어진 곡이다. 농악의 맛을 무대화시키고 앉아서 연주하기 위해 새로운 호흡법을 하게 되었고, 투박하고 날것의 놀이문화를 세련되고 합주형식의 음악장르로 승화시켰다. 2개의 가죽 악기와 2개의 쇠 악기를 통해 음양의 조화를 이루고 있고, 꽹과리 장구가 이끌어가면 징, 북이 베이스로 잡아가면서 서로간의 하모니를 만들어 간다. 사물놀이 레파토리의 대표적인 곡으로서 계산된 장단 활용과 시각와, 청각촤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입체적인 소리의 향연을 느낄 수 있다.
○ 판굿
- 판귯은 우리의 풍물을 축소 시켜서 만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상모, 악기, 발동작의 삼위일체를 통해서 전통 호흡의 멋과 맛을 확인할 수 있고, 전체적인 판의 흐름을 통해 진풀이를 학인할 수 있다. 외국의 마칭밴드가 있다면 우리는 사물놀이의 판굿이 그와 비슷한 행진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발동작의 변화를 통하여 장단의 빠르기와 흐름이 바뀌어지고 서로간의 간격과 상모짓을 통해서 질서와 혼돈의 대비를 느낄 수 있다. 꽹과리, 장구, 북, 소고, 12발로 이어지는 개인 놀이를 보면서 보다 풍성한 볼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마지막에 뒷풀이 마당을 통해 연주자와 관객이 하나가 되는 소통과 화합의 대동놀이를 만들어 간다.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잡귀 잡신을 몰아내고 만복을 받으라는 의미로 문굿을 행햐여 왔다. 문굿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문이라는 매개체를 통과하면서 하늘과 땅을 괭과리, 징, 장구, 북의 연주를 통하여 이어주는 것을 말한다. 나쁜 기운은 땅을 짓밟아 주면서 없애주고, 사물의 악기 소리를 통하여 가정의 평안과 좋은 기운을 가져가라는 뜻으로 연행된다. 오늘 오신 모든 관객에게 잡기 잡신을 몰아내고 만복을 받아가라는 뜻으로 첫 번째 공연 프로그램으로 시작한다. 문굿과 더불어 비나리를 통해 나쁜 액살을 풀고, 만수무강과 만사형통을 빌어준다.
○ 삼도 설장구 가락
-삼도 설장구 가락은 사물놀이의 레파토리 확장적인 측면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다. 유일하게 양면성이 있고 독주가 가능했기 때문에 한 가지 악기만을 가지고 만들 수 있었고, 웃다리, 호남, 영남의 선배, 선생들의 가락을 집대성하여 체계있게 만든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즉흥성이 강했던 선반 설장구의 가락들을 앉아서 연주하기 위해가락의 대삼소삼, 열편과 궁편의 음양의 조화, 독주와 합주의 대비, 체계적인 순서가 정립되어 연주된다. 다스림-굿거리-덩덕쿵이-동살풀이-휘모리로 연주되고 천천히 시작해서 점점 고조되는 형식을 지니고 있어서 다이나믹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삼도 농악 가락
-우리나라의 8도 가운데, 경기·충청지역, 호남지역, 영남지역의 풍물들의 가락 가운데, 재미있고, 특색있는 가락만 모아서 앉은반 형태의 합주곡으로 만들어진 곡이다. 농악의 맛을 무대화시키고 앉아서 연주하기 위해 새로운 호흡법을 하게 되었고, 투박하고 날것의 놀이문화를 세련되고 합주형식의 음악장르로 승화시켰다. 2개의 가죽 악기와 2개의 쇠 악기를 통해 음양의 조화를 이루고 있고, 꽹과리 장구가 이끌어가면 징, 북이 베이스로 잡아가면서 서로간의 하모니를 만들어 간다. 사물놀이 레파토리의 대표적인 곡으로서 계산된 장단 활용과 시각와, 청각촤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입체적인 소리의 향연을 느낄 수 있다.
○ 판굿
- 판귯은 우리의 풍물을 축소 시켜서 만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상모, 악기, 발동작의 삼위일체를 통해서 전통 호흡의 멋과 맛을 확인할 수 있고, 전체적인 판의 흐름을 통해 진풀이를 학인할 수 있다. 외국의 마칭밴드가 있다면 우리는 사물놀이의 판굿이 그와 비슷한 행진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발동작의 변화를 통하여 장단의 빠르기와 흐름이 바뀌어지고 서로간의 간격과 상모짓을 통해서 질서와 혼돈의 대비를 느낄 수 있다. 꽹과리, 장구, 북, 소고, 12발로 이어지는 개인 놀이를 보면서 보다 풍성한 볼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마지막에 뒷풀이 마당을 통해 연주자와 관객이 하나가 되는 소통과 화합의 대동놀이를 만들어 간다.
요청장비
아티스트가 공연을 할 때 필요한 장비를 확인 후 준비 부탁 드려요.
악기마이크5(유,무선), 자바라 스탠드5
공연팀 > 전통 풍물·연희단
사물놀이 본
사물놀이의 진면모를 보여주는 전문가
★★★★★
- 기본 금액
- 로그인 후 확인가능
* 기준지역: 서울 / 공연시간: 20분 / 편성인원: 4명
공연팀,
다이렉트 연결
원하는 조건으로 1:1 맞춤견적 받고,
상세 협의, 금액 조율까지 채팅으로 실시간 소통하세요.
소개
사물놀이의 진면모를 보여주는 전문가 집단입니다. 심장뛰는 힘찬 우리가락을 바탕으로 관객들과 소통하며
흥과 멋을 전달해주는 연주로 전통의 가락에 빠져들게 만들어 드립니다.
행사스케치
